전체 글28 설리반의 대인관계 이론(2) 설리반은 자아상을 형성하는 개념으로 자아상 형성을 주장했다. 주요한 결정 요인은 불안의 수준에 따른다. 유아기에 엄마의 양육에 따라 좋은 나, 나쁜 나, 나 아닌 나를 형성하게 된다. 사람들이 공유하는 인간상 형성의 예는 스테레오 타입으로 볼 수 있는데, 특별한 집단에 갖는 선입견이며 사회의 구성원들이 수용하는 보편적인 개념이나 아이디어라고 할 수 있다. 좋은 나 자아상은 양육 시 온화한 태도와 칭찬, 보상하면 어머니와 만족스러운 대인관계를 가지게 되고, 아이는 자기 자신에 대해 좋은 나의 자아상을 형성하게 된다. 나쁜 나 자아상은 양육 시 엄마가 불안과 긴장을 가지고 있으면 나타난다. 울음이나, 목욕, 음식 등에 엄마가 과민하게 반응하면 불안을 야기시키고 나쁜 나 자아상을 갖게 된다. 나 아닌 나 자아.. 2022. 5. 17. 설리반의 대인관계 이론(1) 설리반은 개인이 대인관계에서 어떻게 다른 사람을 다루는가로 구성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이론은 정신 생물학, 문화인류학, 인간 사회의 유산 연구를 바탕으로 형성되었다. 즉, 대인 성격 발달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문화적 요인에 초점을 두고 있다. 설리반은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아버지와 정성적으로 친밀한 관계를 맺지 못했고 어머니는 우울증을 겪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대인관계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는 설리반의 모습은 부모님과 관계의 어려움을 어느 정도 반영했을 수도 있다. 모든 정서적 문제는 불안으로부터 야기된다고 보았으며 불안감이 안전감이나 편안함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했다. 설리반의 주요 개념은 성격의 본질, 자아 체계, 성격의 방어, 불안, 성격의 양상 등이 있다. 성격의 본질, 성격은 대인관계에서 계.. 2022. 5. 17. 호나이의 신경증적 성격 이론(3) 여성 심리학에 대한 호나이의 관심은 임상적 관찰로부터 시작되었다. 프로이트 주장한 남근선망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모든 인류가 가지고 있다고 보았으며 이것을 대처하기 위해 환상을 사용한다고 했다. 임상적 사례를 통해 남성들 또는 여성의 출산, 양육의 능력에 질투함을 발견하였고 이것을 자궁 선망이라고 명명했다. 호나이는 성적인 삶의 중요한 본질을 생물학적인 창조 능력이라고 보았다. 이것은 여성에게만 있기 때문에 남성은 여성을 질투하며 이것이 여성 폄하, 월경의 금기, 동등한 권리 부여를 맡는 것 등의 형태로 드러난다고 보았다. 호나이는 여성과 남성 둘 다 창조적, 생산적으로 살기 위한 충동이 있다고 주장했다. 여성은 출산을 통해 이것이 성취되지만 자연스럽게 성취할 수 없는 남성은 외부 활동의 성취를 통해 .. 2022. 5. 15. 호나이의 신경증적 성격 이론(2) 호나이가 말하는 신경증 경향성은 신경증 욕구에 따라 강박적으로 일어나는 행동 또는 태도이다. 이 경향성은 모든 상황에서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해 3가지 신경증 경향성을 제시하였는데 타인을 향해 움직임(순응적 성격), 타인에 반해 움직임(공격적 성격), 타인으로부터 멀어지기(고립형 성격)이다. 순응적 성격은 타인에게 지나친 애정과 인정을 받기 위한 욕구가 지니고 타인에게 향하고자 하는 욕구를 반영하는 행동을 한다. 대부분은 보호자나 친구에게 순응적 성격적인 경향을 보이지만, 모든 사람에게 욕구를 표현한다. 타인의 관심이나 애정을 받을 수 있는 방식을 잘 알고 있으며 목표를 위해 타인을 조종하려는 경향성이 있다. 때로는 사려가 깊고 이해심이 많아 보이기도 하지만 자신의 욕구를 항상 다른 사람의 .. 2022. 5. 15.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