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레이의 욕구 특성
머레이는 욕구의 우세성을 주장하며 욕구의 긴급함 정도에 따라 다르다고 보았다. 물과 공기에 대한 욕구는 다른 욕구들보다 선행되고 행동을 지배한다. 또한 욕구의 융합을 말하였는데 욕구들이 서로 보완적이거나 단일 행동으로 다른 욕구가 충족될 수 있음을 말하였다. 보조의 개념은 욕구 충족을 위해 다른 욕구를 활성화하는 상태이다.
머레이는 인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환경을 압력이라 보았다. 압력을 알파 압력과 베타 압력으로 나누었다. 알파 압력은 객관적 압력으로 현실을 반영하여 직접적이고 실제적인 압력을 말한다. 베타 압력은 주관적으로 지각되는 압력이다. 같은 사건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수준이 달라질 수 있다.
머레이는 주제의 개념을 도입했다. 이것은 욕구와 압력의 관계성인데 개인의 욕구와 환경적 압력을 결합시는 것이 주제이다. 초기 아동의 성격 결정에 영향을 많이 미친다.
머레이는 발달 단계를 5가지로 나누었고 5가지의 콤플렉스를 경험한다고 하였다.
자궁 안과 같은 안전한 상태 > 폐소 콤플렉스
젖을 빠는 즐거움 > 구강 콤플렉스
배변의 즐거움 > 항문 콤플렉스
배뇨의 즐거움 > 요도 콤플렉스
생식기 즐거움 > 거세 콤플렉스
폐소 단계는 다시 자궁으로 되돌아가기를 바라는 것이다. 작고 따뜻한 격리된 장소를 원할 때 경험한다. 여기에 콤플렉스가 있으면 의존적 성향이 되거나 수동적으로 되며 과거의 행동을 지향한다. 불안전과 무기력의 감정에 집중되고 천재지변이나 변화를 두려워한다. 반대로 제한적인 것으로부터 도피하려는 반대 성향은 질식 등에 두려움을 보이고 여행 등을 선호한다.
구강 단계는 구강 의존, 구강 공격, 구강 거부의 단계가 있다. 구강 의존은 보호받고 지지받기를 원하는 욕구와 수동적인 경향이 특징이다. 동정심, 빨기, 먹기 등의 행동을 포함한다. 구강 공격은 물어뜯거나 침을 뱉거나 비웃는 등 언어적 공격까지 포함된다. 구강 거부는 토하거나 적게 먹거나 의존을 꺼리는 등의 행동을 한다.
항문 단계는 항문 거부와 항문 보유가 있다. 항문 거부는 배설물과 비슷한 물질에 지나친 관심을 보이며 공격적인 행동을 하고 지저분하거나 비 계획적으로 움직인다. 항문 보유는 물건을 모으거나 아끼며 단정, 질서, 청결 등의 특징을 보인다.
요도 단계는 이카로스 콤플렉스라고도 하는데 지나치게 높은 목표를 추구하지만 이루지는 못한다. 지나친 야망, 과시벽, 왜곡된 자부심, 이기주의 등과 관련이 있다.
성기 또 는 거 세 단계는 성기가 잘릴지도 모른다는 환상에서부터 시작된 불안이라고 보았다.
머레이는 성격 평가 영역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다. 하나의 검사를 통해서 한 개인을 충분히 알기 어렵기 떄무에 다양한 지표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욕구 이론을 바탕으로 주제통각검사, 에드워드 개인 선호도 검사, 성격 탐색 검사 등이 개발되었다.
주제통각검사(TAT)는 30장의 그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림을 통해 이야기를 만들어 나가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이야기를 통해 수검자의 생각과 물리적 환경을 알 수 있다. 알게 된 자료를 토대로 타인 간의 관계 방법과 욕구 충족을 위한 적응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파악한다.
에드워드 개인 선호도 검사는 머레이의 20개의 욕구 중 15개를 알 수 있다. 225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성격 프로파일을 쉽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성격 탐색 검사는 정상인의 성격 특성을 알기 위한 검사이다. 머레이의 20가지 욕구를 포함해서 22개의 요구를 측정한다.
머레이는 과거와 현재, 미래의 사건 모두 인간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으며 치우친 입장을 피하려 했다. 특히 욕구와 관련된 머레이의 분류법은 어떤 것보다 유용하게 현재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 이론은 실험적인 면과 경험적인 면 모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검사보다 더 유용하게 사용된다. 특히 힘이나 성취, 친밀감에 관한 연구는 거의 머레이의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뇌의 기능을 강조함으로 후에 생물학적, 화학적 요인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요약.
머레이는 성격 원리를 5가지로 분류했다. 성격은 뇌에 근거를 두며, 유기체의 욕구와 그 욕구로부터 비롯된 긴장을 어떻게 감소시키는가와 관련이 된다고 보았으며 성격은 상황과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성격은 사람들 안에 공통적인 부분도 있지만 독특한 측면도 포함된다고 보았다.
머레이는 프로이트가 사용했던 원초아, 자아, 초자아의 개념을 도입하여 성격을 설명하려고 했지만 프로이트와는 다르게 원초아가 긍정적인 측면도 가진다고 보았고 긍정적인 부분을 강조했다. 자아는 합리적 지배자이며 행동의 의식적 조직자로 정의했다. 자아는 원초아의 충동 중 수용되지 않는 부분을 수정하고 지연시키려 한다. 초자아는 원초아와 대립만 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서 수용되는 욕구를 어떻게 표현할지 결정하기도 한다.
머레이는 성격의 체계를 욕구, 압력, 주제의 개념으로 보았다. 주제는 욕구와 환경의 압력을 통해 나타나는 행동이다. 20가지 욕구를 제안했으며 욕구의 유형에 따라 이차적, 일차적 욕구, 반응적, 발성적 욕구로 나누었다.
프로이트의 성격 단계를 바탕으로 아동기를 폐소, 구강, 항문, 요도, 거세 콤플렉스 5단계로 나누었다.
머레이는 성격 평가기법을 개발했는데 가장 유명한 것은 주제통각검사(TAT)이다. 머레이의 이론을 바탕으로 에드워드 개인 선호도 검사와 성격 탐색 검사가 개발되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레이의 욕구 및 동기이론(1) (0) | 2022.05.24 |
---|---|
설리반의 대인관계 이론(2) (0) | 2022.05.17 |
설리반의 대인관계 이론(1) (0) | 2022.05.17 |
호나이의 신경증적 성격 이론(3) (0) | 2022.05.15 |
호나이의 신경증적 성격 이론(2) (0) | 2022.05.15 |
댓글